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 선거 통에 산불 경계심 허물어져 있다
 
울산광역매일   기사입력  2024/03/18 [20:02]

 올해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있어 행정당국이나 시민들의 관심이 온통 그쪽에 쏠려 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지방에서 발생한 산불 소식은 귀 너머로 들릴 정도다. 자연 재난은 이런 방심을 비집고 들어온다. 어느 당 누가 당선될 것이냐를 두고 설왕설래하는 중 울산지역에서 한밤에 산불이 발생했다고 가정해보라. 모두 갈팡질팡할 게 틀림없다. 그런데 울산시민들은 점점 양치기 소년이 돼 가고 있다. 강 건너 산불인 셈이다. 설마 이럴 때 산불이 나겠는가 한다. 때문에 산불이 나면 그대로 뒤통수를 맞는다.  

 

 최근 잦아지는 강풍은 지난 2013년 언양 산불을 되새기게 한다. 당시 언양 산언저리에서 시작된 불이 대형 산불로 번진 것은 주로 강풍 때문이었다. 게다가 산속 곳곳에 쌓인 낙엽들이 바싹 말라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지금도 상황은 그때와 비슷하다. 지난주부터 울산지역에 대기 건조경보가 내려진 상태다. 겨울비가 제법 내렸다곤 하지만 막상 산속을 들여다보면 물기를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일주일 간 강풍도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담뱃불 하나만 던져져도 순식간에 밑불이 다른 곳으로 번진다. 

 

 지난 2013년 3월 언양 일원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그 한 예다. 야간에 발생해 소방인력이 제대로 투입되지 못한데다 불이 강풍을 타고 경주 방향으로 번지는 바람에 울주군과 경주로 이어지는 삼림지역이 불바다가 됐다. 결국 산림 50㏊가 불탔다. 2012년 한 해 동안 울산에서 발생한 산불 22건 전체 면적이 1.92㏊인 것과 비교하면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주택 23동이 불에 탔고 가축 1천350마리가 폐사했다. 이로 인한 손실액만 40억원이 넘는다.

 

 하지만 이런 피해는 외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생활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실질적인 악영향은 이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산불로 피폐된 산림을 복원하는 데 30년이 걸린다. 생태계가 원상회복되기 위해서는 100년이 필요하다. 산이 불에 타 버리면 자연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돼 홍수로 인한 산사태는 물론 풍해 등에 대응하지 못한다. 산과 숲이 가지고 있는 물 정화 기능이나 중화작용도 없어진다.

 

 행정 당국이 산불 발생을 미리 막기 위해 갖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산불 발생 요인들을 일일이 막을 순 없다. 지난 언양 산불이나 최근 전국 각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원인을 미리 찾아낸다는 게 말처럼 그리 쉽지 않다. 산불방지는 결국 지역민들의 몫이다. 행정력을 아무리 동원해도 사람이 주의하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는 게 산불이다. 조그만 요인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가능성을 미연에 없애는 시민들의 경계심이 최선의 방지책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4/03/18 [20:02]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