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5월 취업자 수 증가폭 10만명 아래 추락
실업률 18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청년실업률 역대 최악
인구 증가폭 감소, 제조업ㆍ건설업 일부 업황 부진 분석
상용직 근로자 증가, 임시근로자ㆍ일용근로자 각각 감소
 
김조영 기자   기사입력  2018/06/18 [17:08]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만명 아래로 추락했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고용대란 이후 처음이다. 
5월 기준 실업률은 18년 만에 가장 높았고 청년실업률은 역대 최악 수준이었다.

 

정부는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고있지만 오히려 고용 지표는 악화되는 모양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5월 취업자 수는 2천706만4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2천명 증가했다. 5월 취업자 증가폭은 금융위기 영향권인 2010년 1월(-1만명) 이후 가장 작다.

 

올해 취업자 증가폭을 보면 1월 33만4천명으로 호조를 보였으나 2월 들어 10만4천명으로 미끄러졌다. 3월(11만2천명)과 4월(12만3천명)에도 10만명대에 머물렀고 5월 들어서는 10만명 선도 붕괴됐다.


인구 증가폭 감소, 제조업과 건설업 등 일부 업황부진, 기상여건 악화 등이 겹치면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쪼그라든 것으로 분석됐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취업자 증가폭이 1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어렵다"면서 "인구증가폭이 둔화되는 와중에 제조업과 건설업 업황 부진이 전체 취업자 증가폭 둔화를 이끌었다.


일시적인 요인이지만 조사 기간에 갑작스러운 폭우로 건설업을 중심으로 일용직이 감소한 영향도 있다"고 전했다.
5월 15세 이상 인구는 23만8천명 증가했는데 지난해 5월 증가폭(33만1천명)과 비교하면 약 10만명이 감소한 셈이다. 경제활동인구 증가폭은 37만명에서 19만8천명으로 반토막 났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7만9천명 감소했다. 지난 4월(-6만7천명)에 이어 2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자동차 산업과 조선업 구조조정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련 설비투자도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제조업 부진은 도소매업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친 모습이다. 5월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5만9천명 줄었고,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4만3천명 감소했다.
이 밖에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도 9만8천명 이나 줄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교습학원 강사들이 공공부문 채용 등으로 눈을 돌리면서 관련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증가를 견인하던 건설업도 고용이 급격히 둔화됐다. 5월 건설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4천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6년 7월(-7천명)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종사지위별로 보면 상용직근로자가 32만명 증가했지만 임시근로자가 11만3천명 줄고, 일용근로자가 12만6천명 줄었다.


빈 과장은 "일용근로자는 건설업 관련 영향이 컸다. 일기적 영향에 의해 감소폭이 컸다"며 "임시직은 추세적으로 2016년 9월부터 줄고있고, 사업장 안에서 상용직으로 옮겨간 개선사례도 일부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5월 고용률은 61.3%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로 전년 동월과 같은 수준이다. 실업지표도 최악으로 치달았다.
전체 실업자 수는 112만1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만6천명 늘었다. 실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다섯달째 100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실업률은 4.0%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상승했다. 5월을 기준으로 보면 2000년 5월(4.1%) 이후 가장 높다. 15~29세 청년실업률은 10.5%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올랐다. 고용 통계 방식이 현재 모습을 갖춘 2000년 이래 5월을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역대 최악이란 의미다.


빈 과장은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가 노동시장에 참여하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이 상승했다. 공무원 시험을 작년보다 앞당겨 실시한 영향도 있어 보인다"면서 "청년실업률 상승이 전체 실업률 상승에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1.5%로 전년 동월 대비 0.6%포인트 올랐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3.2%로 0.3%포인트 높아졌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이후 5월을 기준으로는 가장 높다. 한편, 제조업 중심 지역 고용 상황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빈 과장은 "전북이나 울산 같은 경우 고용률은 하락하고 실업률은 상승했다"며 "자동차나 조선업 관련 지역에서는 이같은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서울 김조영 기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06/18 [17:08]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