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고> 글로벌 트렌드 2040과 한국의 미래(2)
 
박성원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장   기사입력  2021/05/11 [17:10]
▲ 박성원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장     © 울산광역매일

 보고서는 앞서 설명한 4개의 동인과 새로운 글로벌 트렌드, 그리고 변화 주체들의 대응 방식을 조합해 향후 전개될 미래를 5개의 시나리오로 제시한다. 

 

 첫 번째는 `민주주의 르네상스`이다. 미국과 그 동맹국 중심의 열린 민주주의로 세계가 다시 경제적 성장, 삶의 질 향상을 일궈낸다. 열린 민주주의가 기술과 사회혁신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에 적응하지 못한 중국과 러시아는 기술개발, 경제성장에서 흔들린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의 사회적 통제가 다소 완화될 수 있다.

 

 두 번째는 `표류하는 세계`다. 성장의 정체, 흔들리는 국제 규범, 사회적 문제의 확산으로 혼란한 시대를 맞이한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는 인접 국가들의 군비 투자 확대로 이어지고, 지역적 불안이 심화된다. 일부 개발도상국은 경제와 환경을 살리기 위해 중국에게 투자를 요청한다. 규범의 혼란을 틈타 테러는 증가하고 기후변화 같은 지구적 난제 해결은 답보상태다.

 

 세 번째는 `경쟁적 공존`이다. 미국과 중국이 경제적 성장과 자유무역을 위해 협력하는 미래다. 서로의 의존성 확대로 군사적 위험은 낮아진다. 그러나 공존의 표면 아래에서 양국은 다중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정보수집력, 기업의 첩보활동,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다. 세계가 현재의 이익만을 중시하다 보니 기후변화를 위한 중장기적 대응은 약화된다.

 

 네 번째는 `분열의 이기주의`다. 미국, 중국, 유럽, 러시아 등 강대국의 분열로 각국은 치열한 생존경쟁에 몰린다. 기업의 재정적 손실, 시장 기능의 쇠퇴, 글로벌 밸류 체인의 붕괴가 벌어진다. 자원과 기술력이 강한 선진국만 생존에 유리한 상황이며, 일부 국가는 민주주의와 권위주의의 혼합형 정치제도를 추구할 가능도 있다. 

 

 끝으로 `비극과 동원`이다. 극심한 기후, 식량난, 경제성장의 정체, 사회적 불안정의 증가에 세계는 밑으로부터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시도한다. 유럽과 중국의 주도로 세계 수많은 청년조직들과 협력해 전세계적인 문제로 지목된 기후변화, 환경파괴, 자원고갈의 대응에 나선다. 이를 통해 세계는 신에너지 시대로 진입한다.

 

 그렇다면 5가지 미래 중 세계는 어떤 미래로 나아갈까. 시나리오별 제목의 뉘앙스로 판단해보면 미국은 첫 번째 시나리오 `민주주의 르네상스`를 선호할 것이다. 미국이 주도하지 않을 경우 세계는 표류, 경쟁, 분열의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미국보다 유럽과 중국의 역할을 중시했다는 것이다. 기존의 세계질서를 유지했던 미국적 방식에 대한 비판 때문이다. 

 

 향후 20년을 전망할 때, 가장 불확실한 요소는 세계가 경제적 가치(지속적 성장, 충분한 물적 자원)와 환경적 가치(환경보존, 에너지 전환) 사이에서 어느 쪽을 선택하지 못한 채 갈팡질팡할 것이란 점이다. NIC 보고서는 미국이 지향하는 기술적 낙관론과 열린 민주주의로 경제성장과 환경보존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 보여줬던 반세계적, 반생태적 정책을 보면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 

 

 `비극과 동원`이라는 시나리오에서는 세계가 거의 붕괴직전에 몰렸을 때야 정신을 차리고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것으로 전망하는데, 나도 이 견해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관을 보지 않으면 정신차리지 못하는 것이다. 성장과 분배, 경쟁과 협력, 경제와 환경이라는 이분법적 대립을 화해시키고 상호보완할 새로운 메커니즘은 아직 등장하지 않은 것일까. 21세기형 새로운 보이지 않는 손, 윤리적 경제성장, 탈물질주의 성장론자 등은 이론이나 개념에 불과한 것일까.

 

 NIC 보고서에서 언급되는 한국의 미래는 주로 경제적 불평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가구 당 지고 있는 빚 규모를 보면 한국은 2000년과 비교해 2018년 가구당 소득은 소폭 증가한데 비해 가구당 빚(GDP 대비)은 대폭 증가했다(50% -> 90%). 프랑스,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도 이 흐름에 서 있다. 집값 상승, 건강과 교육 관련 지출 상승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대부분 국민은 빚만 늘어가고 있는 현실을 드러낸다. 

 

 게다가 한국은 1990년과 비교해 2018년 현재, 소득불평등도 증가하고 있다. 세계 불평등 평균에는 미치지 않지만, 불평등도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처럼 노력이 자본을 못 따라가는 현실은 더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청년들은 이미 영혼까지 갈아 넣어 힘겹게 생존하고 있어서 더 노력할 여력은 없어 보인다. NIC의 예측대로 더욱 치열한 경쟁의 시대에 새로운 사회적 비전이 절실하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1/05/11 [17:10]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