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용돈 못줄 때 불행하다고 느끼는 노인들 많다
 
김두용 국민연금공단동울산지사장   기사입력  2016/09/20 [15:02]
▲ 김두용 국민연금공단동울산지사장    


추석이 지났다. 설과 함께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고 하며 가장 많은 인구이동을 보이는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대의 명절이 지났다. 고향의 부모와 조상을 찾는 사람들이 양손에 선물 보따리를 들고 오랜 시간 정체가 되어도 밝은 얼굴로 기다리는건 아직도 고향의 어른과 조상을 찾아뵙는 전통이 전해 내려오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자식들 고생한다고 역귀성을 하는 어른들도 있기는 하지만 고향을 찾는 그 마음만큼 고향이 주는 그 푸근함이 좋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언론을 통해 보듯이 넉넉하지 못한 형편에 고향을 찾기도 어려운 사람들이 많고 그러한 자식들을 오라고 하지 못하고 마음속으로 그리워만 하는 노인들 또한 많은 현실을 보면 OECD 중에서 최고의 노인빈곤율을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실인 것만은 틀림없다.


얼마 전 발표된 대한노인복지학회의 ‘노인복지연구’에 실린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저소득 노인들은 자녀에게 금전을 주지 못할 때 불행하다고 느낀다고 한다. 자녀들이나 손자녀들에게 용돈을 주지 못하는 것을 부모 자신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으로 느껴 행복감이 낮아지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반대로 보면 우리나라 노인은 경제적 욕구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위축감은 가족과 사회적 관계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은퇴 이후에는 은퇴전의 일상적인 생활 패턴의 변화와 소득의 감소는 자신의 자존감도 축소될 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관계 및 사회적인 관계도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고용정보원의 은퇴 후 소득동향 지표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은퇴한 사람들의 소득 평균은 2006년 연1천719만원에서 2008년 연1천329만원 2010년 587만원으로 급감했다. 은퇴 4년만에 은퇴전의 34%에 불과한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그나마 60세 이후 연금을 받는 사람들은 연금으로 어느 정도 보전이 되어 2012년에는 615만원, 2014년에는 668만원으로 늘어났으나 여전히 은퇴 전 소득의 40%에도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정년퇴직 후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한 사람과 퇴직 후 취업을 하지 못하여 소득이 단절된 사람들과 비교를 하면 취업상태를 유지한 사람들이 배우자의 관계, 자녀들과의 관계,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도 훨씬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신이 아직 활동할 수 있고 소득으로 가족들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자존감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노인일자리가 퇴직자 전원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어서 퇴직자의 극히 일부분만 재취업을 하게 되는 것을 보면 계속 취업자보다 은퇴 이후 구직자가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퇴직 이후 소득은 단절되는 반면 지출은 그대로인 경우가 많다. 청년 실업이 높아 늦게까지 공부하는 자식들과 취업하지 못한 자녀들까지 생활비를 충당해야 하는 퇴직자들은 퇴직이후 연금수령 전까지의 소득 공백기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정상적인 연금수령액보다 줄어든 조기노령연금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도 있어 조기노령연금을 선택한 이들도 길어진 노후만큼이나 어려움도 길어질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국민연금 납부기간이 연금을 수령할 만한 조건이 되지 않은 사람이다. 연금 수령조건이 되면 만기연금이나 조기연금을 선택하여 경제적인 부족분을 어느 정도는 충당할 수 있겠지만 연금제도를 신뢰하지 못하여 가입하지 않거나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 등 사유로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은 사람들의 미래는 더 큰 노후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은퇴자들을 위한 노후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별도의 복지프로그램이 등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소득지원 뿐만 아니라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 사회·심리적인 관계나 건강에 관한 지원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원에는 구조적인 복지프로그램의 지원뿐 만아니라 생산연령대에 있는 모든 세대들에 대한 공적연금 및 금융제도에 대한 교육과 홍보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모두가 더 나은 가족과 사회의 통합을 위해서라도 이제 복지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6/09/20 [15:02]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